[앎-識]/위빠사나(명상)

생각의 양식 - 아신 떼자니야 사야도

그러한 2008. 10. 30. 14:16

 

 생각의 양식

 


 

다음 요점들은 아신 떼자니야 사야도의 짧은 성찰과 아이디어와 제안을 모아 놓은 것입니다. 이것들은 문맥에서 뽑아온 것이기 때문에, 사야도의 가르침에 친숙하지 않거나 처음 수행하거나 담마(법)를 많이 접해보지 않은 수행자들에게는 항상 의미심장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읽은 즉시 이해되는 것들로부터는 영감을 얻고, 당신에게 울림이 없는 글들은 건너뛰고 읽기를 제안합니다. 당신과 관련이 없는 글을 곰곰이 생각하는 것은 당신을 혼란시키거나 좌절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 조금이라도 기대하는 것이 있다면, 마음이 혼란스럽게 됩니다. 마음가짐을 지켜보고 결과를 기대하지 마십시오.


2. 지혜를 사용할 때 노력은 이미 존재합니다.


3. 알아차림하고 있는 것은 이미 바로 이곳에 있는 것을 알아차리고 있는 것입니다.


4. 마음이 게으를 때면, 마음은 생각을 합니다.


5. 속상할 때는 언제나 내면을 보십시오. 거기에는 당신의 마음상태 때문에 비난할 수 있는 것은 어떤 것도 없고 아무도 없습니다.


6. 가정(assumption)이 있으면 어리석음이 일하고 있는 것입니다.


7. 대상과 마음의 차이를 분명하게 보는 법을 배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느 것이 대상입니까? 어느 것이 마음입니까?


8. 사람들이 우울해지는 것은 언제나 그들이 원하는 것이 있었고 그것을 얻지 못했음을 나타내는 확실한 표시입니다.


9. 생각은 당신에게 거짓말할 수 있으나 당신의 느낌(웨다나)은 그럴 수 없습니다. 느낌은 실재입니다.


10. 말하고 싶어 하는 것과 말하고 싶어 하지 않는 것은 같은 문제입니다.


11. 어떤 것을 하기를 당신이 원하는지 원하지 않는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단지 그 행위를 할 필요가 있는지 없는지를 자신에게 물어 보십시오.


12. 소리에 주의를 기울이지 말고, 단지 듣고 있음을 인지하십시오. 듣는다는 것은 소리를 아는 마음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보는 것, 등등도 마찬가지입니다.


13. 작은 번뇌들은 자라날 것입니다. 궁극적으로 우리는 심지어 가장 조그마한 탐욕과 성냄의 현시도 볼 수 있게 될 필요가 있습니다.


14. 당신은 왜 이것을 하고 있습니까? 당신이 그것을 원하기 때문입니까? 그것을 할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까? 현재 상황에서 하기에 적절한 것이기 때문입니까?


15. 마음속에 탐욕과 성냄이 없을 때, 당신은 바른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16. 단지 질문을 하고, 답을 찾으려 하지 마십시오. 답은 마음이 충분한 데이터를 수집하자마자 나올 것입니다.


17. 자신에게 참으라고 하지 말고, 참을성 없음을 지켜보십시오!


18. 지혜가 마음을 통제할 수 있습니다, 당신이 마음을 통제할 수는 없습니다!


19. 평온을 유지하려고 하지 말고, 오직 알아차림을 유지하려고 하십시오.


20. 가정에 문제가 있다면 집에서 해결해야 합니다. 그것을 수행센터에서 해결할 수는 없습니다.


21. 당신의 지혜와 이해를 고맙게 여기십시오. 당신이 할 수 있는 만큼 하고, 어떠한 결과라도 당신이 얻은 것에 대해 만족하십시오.


22. 무엇에 주의를 기울이려고 합니까? 봄? 들음? 냄새 맡음? 닿음? 맛봄? 생각함? 아니면 바라봄, 귀 기울임, 냄새 맡음, 닿음, 맛봄에 끼어들려고 합니까? 생각에 빠져들 것입니까? 낡은 습관에 휘말리지 마십시오. 마음을 다시 훈련시키십시오!


23. 나쁜 마음가짐을 가지고 있는 한, 마음은 강해질 수 없습니다. 마음이 강해지면 마음은 볼 수 있는 것은 무엇이든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이 담마가 일하고 있는 것입니다. 거기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어떤 것을 보려고 열심히 노력하지 마십시오. 보려는 열망은 탐욕입니다.


24. 마음을 어딘가에 두려고 하지 마십시오. 장소는 개념입니다. 마음이 일하고 있다는 사실에 의해서 당신은 마음을 인지할 수 있습니다.


25. 소위 계획하는 마음은 단지 생각입니다. 당신은 무언가를 계획할 수도 있겠지만, 의도가 충분히 강하지 않기 때문에 어떤 것도 하고 있지 않습니다. 진정한 의도는 생각이 아닙니다. 그것은 단지 추진력이고, 마음의 에너지일 뿐입니다.


26. 마음이 어떤 일을 왜 하고 있는지를 아는 것은 지혜입니다.


27. 때로는 생각이 너무나 미세해서 그것이 번뇌에 의해 생긴 것인지 아닌지 알 수 없지만, 그것을 느낄 수는 있습니다.


28. 둑카에 대한 진실한 이해는 고통으로부터 해방이며, 마음을 해방시킬 것입니다.


29. 수행 초기에는 당신이 생각하고 있음을 알아차리자마자 생각이 멈출 것입니다. 당신은 알아차리면서 생각할 수 없습니다. 알아차림이 강해져야만 생각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30. 어떤 것의 원리를 진정으로 이해했다면, 그것을 결코 잊지 않을 것입니다.


31. 우리는 번뇌들이 얼마나 해로운지 깨달아야만 합니다. 진정으로 번뇌들에 대해서 마음이 진저리를 칠 때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단지 지성적으로 로바, 도사, 모하는 좋은 것이 아니라고 아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실제적으로 탐욕, 성냄과 어리석음과 더불어 살기를 바랍니다. 우리 모두는 번뇌들을 지속적으로 바라보는 수많은 어려운 시기를 통과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지름길은 없습니다. 마음이 진정으로 번뇌들에 의해서 진저리치게 된 다음에야 비로소 마음은 스스로를 해방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32. 서둘지 마십시오. 계속 배우기만 하십시오.


33. 번뇌가 왜 집에서는 더 강할까요? 왜냐하면 ‘내’ 집, ‘내’ 아내, ‘내’자동차 등등이기 때문입니다.


34. 진정으로 계속 알아차린다면 두려운 생각이 일어나지 않을 것입니다. 소리가 그냥 소리일 뿐 등이라면, 상상이 크게 번지지는 않을 것입니다. 본 것에 대해 무엇을 생각하든, 들은 것에 대해서 무엇을 생각하든 단지 개념일 뿐입니다.


35. 알아차림을 두려고 해서 생긴 알아차림(applied awareness)이 아닌, 자연스런 알아차림(natural awareness)즉 알아차리는 일을 스스로 하는 알아차림만이 일상생활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지혜가 꾸살라(선함)와 아꾸살라(불선함)를 볼 것이고, 아꾸살라를 버리고 꾸살라를 택할 것입니다. 수행을 오래 하면 할수록 이 과정을 더 많이 이해할 것입니다.


36. 안과 밖은 개념입니다.


37. 항상 마음을 살피십시오. 마음이 왜 이것을 하고 있으며, 그것은 어떤 느낌입니까?


38. 왜 마음이 동요하게 됩니까? 동요가 일어나기 전에 당신은 무엇을 했습니까? 기억하십시오!


39. 동요할 때, 당신은 진정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40. 마음은 어떤 대상 때문이 아니라, 관심, 바른 마음가짐과 지속적인 알아차림으로 고요해집니다.


41. 수행센터 안에서 대화하면서 하는 수행(talking meditation)을 하지 않으면 밖에서 그 수행을 할 수 없을 것입니다.


42. 생각해야 할 아주 중요한 것이 있다고 생각한다면, 생각을 멈추고 그것이 진정으로 중요한지 자신에게 물으십시오. 당신은 왜 그렇게 열심히 그것에 대해 생각하고 싶어 합니까?


43. 근무하고 있는 때, 매시간 마다 1분 정도 혹은 시간이 있을 때는 언제나 호흡을 알아차리는 수행을 한다면, 스트레스의 관성은 늦춰지든지 심지어는 멈춰질 수 있습니다.


44. 사람들이 수행을 시작할 때는, 그들에게 수행을 계속하게 하는 믿음이 없거나 충분하지 않을 것이므로, 동기 부여를 많이 해야 합니다. 믿음이 자라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45. 당신이 수카(행복)라고 생각하는 것은 둑카입니다.


46. 집착을 놓아버리는 것이 중요합니까, 아니면 집착이 왜 거기 있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까? 어떤 것을 없애기 바라는 것은 도사입니다!


47. 알아차림과 지혜가 번뇌를 자동적으로 뿌리 뽑을 것입니다. 우리는 단지 바른 조건을 만들어낼 수 있을 뿐입니다. 우리는 번뇌를 인지하고 받아들일 필요가 있습니다.


48. 당신이 어떤 번뇌를 이해했다고 확신을 느끼는 것은 어리석음이 일하고 있는 것입니다.


49. 진정으로 이해될 때까지 우리가 배워야할 것들을 계속해서 되풀이하여 배울 필요가 있습니다.


50. 당신이 아는 것은 결코 충분하지 않습니다! 지혜는 무엇이 일어나고 있는지, 그리고 무엇이 행해져야 되는지 이해합니다. 지혜는 여러 방면으로 계속 성장합니다.


51. 일어나고 있는 것에 저항하면 할수록, 당신이 그것을 변화시키기를 바라면 바랄수록, 그것은 더 나쁘게 느껴집니다.


52. 체험에 대해서 생각하지 말고, 어떻게 알아차림할 것인가를 생각하십시오.


53. 비록 두렵더라도, 부딪쳐 보십시오!


54. 우울할 때는 모든 것이 문제가 됩니다.


55. 우리는 행동으로 옮겨야 합니다. 우리가 어떤 것도 하지 않는다면, 망상이 기승을 부릴 것입니다. 번뇌는 아주 강하고, 아주 빨리 달아날 수 있으므로, 지혜가 따라잡기 위해서는 빠를 필요가 있습니다.


56. 진정으로 이해하기 바란다면 실제 상황에서 수행을 해야만 합니다.


57. 조사는 지혜의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58. 지혜는 결코 믿지 않습니다. 지혜는 항상 조사합니다.


59. 우리는 생각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유용하게 사용하려는 특성은 지혜입니다. 요점은 생각 자체가 아니라, 생각 뒤에 숨어 있는 의미, 바른 아이디어, 그리고 이해입니다.


60. 어떤 것을 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이 지혜입니다.


61. 우리는 지혜와 실재에 대해서 말하기 위하여 개념을 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개념과 실재는 공존합니다.


62. 사마디에 집착하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조사하라고 권할 필요가 있습니다.


63. 선천적으로 호기심 많고 지성적인 사람들은 자동적으로 자신들이 알아차린 것을 더 가까이 더 깊게 살펴볼 것입니다.


64. 지혜는 결코 쉽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지혜는 언제나 더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합니다.


65. 쉽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당신은 괴롭게 될 것입니다.


66. 지혜로운 사람들은 더 열심히 일합니다.


67. 평화로운 삶을 원하는 것은 게으름입니다.


68. 결심할 때는 조심하십시오! 사람들은 흔히 자기가 실제로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조차 해 보지 않고 결심하곤 합니다.


69. 우리는 번뇌를 멈추게 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번뇌와 함께 일하는 방법을 배우지 않으면 안 됩니다. 게임을 하는 사람들은 이 말을 잘 이해할 것입니다. 더 높은 수준으로 올라가기 전에, 당신은 문제를 해결하거나 난관을 극복해야만 합니다.


70. 번뇌로 번뇌를 제거할 수 없습니다. 번뇌를 다룰 때마다, 어떤 개입이나 방해없이 알아차릴 필요가 있습니다. 우선 무슨 일이 진행되고 있는지 인지하고, 관찰하고,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어떤 것을 나쁜 것이라고 꼬리표를 붙일 때마다, 우리는 분노를 끌어들이고 있는 것입니다. 마음가짐을 계속 점검하십시오!


71. ‘나’라는 관념은 지속적으로 일어나지만, 마음에게 그것은 다른 것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대상일 뿐입니다. 당신은 ‘나’라는 관념이 있을 때나 없을 때도 알아차리는 것을 배울 수 있습니다.


72. 마음을 게으르게 내버려두면 번뇌가 공격할 것입니다.


73. 당신이 현재 체험하고 있는 것에 영향을 주는, 적어도 두 가지 항상 있는 주요 원인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당신의 좋고 나쁜 습관의 관성, 두 번째는 지금 현재 당신이 하고 있는 것입니다.


74. 어떤 것을 이해할 때마다, 당신은 자유라는(자유의) 의미를 체험할 것입니다.


75. 사람들은 있는 그대로의 현상들과 같이 살기를 원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자신들이 어떠하기를 바라는 현상들과 같이 살기를 항상 바랍니다.


76. 당신에게 상식조차도 없다면, 어떻게 위빠사나 지혜가 생기기를 바라겠습니까?


77. 담마의 성품은 이렇습니다. ‘담마를 얻는다면 당신은 행복을 느끼지 못할 것입니다. 담마를 얻지 못한다고 해도 당신은 불행을 느끼지 않을 것입니다.’ 많은 수행자들이 어떤 것을 체험하면 아주 행복해 하고 체험하지 못하면 아주 속상해 합니다. 이것은 담마를 실천하는 것이 아닙니다. 담마를 실천하는 것은 어떤 경험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  담마를 실천하는 것은 이해하는 것입니다.


78. 봄에는 세 가지가 있습니다. ① 눈으로 보는 것, ② 마음으로 보는 것, ③ 꿰뚫어 보는 것 - 이것이 통찰지입니다.


79. 진정한 목표는 현상들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행복은 자연히 따라옵니다.


80. 위빠사나 수행에서는 무엇이 일어나고 있는지, 왜 그것이 일어나고 있는지, 우리가 그것에 대해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알고 싶어 합니다.


81. 행복하거나 평화롭기를 바라는 순간, 당신에게는 문제가 생깁니다. 바라는 것이 문제입니다. 바른 정보, 바른 생각과 바른 마음가짐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82. 어떤 것을 하거나 어떤 것을 알기 위해 우리가 서두르거나 열망할 때마다, 마음은 집중하고 초점을 맞추고 결과를 바라기 시작할 것입니다.


83. 진정한 이해는 모든 조건이 다 (충족되어지는)갖추어지는 바로 그 순간에만 일어 날 수 있습니다.

(the moment에서 the 의미가 깊음 the는 정해진 것을 가르킬 때)


84. 실라(계)란 해야 할 것을 하는 것이고 하지 말아야 할 것은 하지 않는 것입니다.


85. 웨다나(느낌)는 동사입니다.


86. 다른 사람들이 우리를 존경하기를 바라는 것은 잘못입니다.


87. 바른 대상에 마음을 기울이는 것이 삼마-상깝빠(바른 생각)입니다.


88. 담마를 아는 척할 수 없습니다. 당신의 이해 수준은 당신의 말과 행동으로 항상 드러납니다.


89. 빤냐(지혜)가 없으면 모하(어리석음)가 있습니다.


90. 빤냐를 더 잘 이해하면, 모하를 더 잘 이해합니다.


91. 산냐(인식)와 빤냐는 동시에 (작용)일합니다.


92. 사띠는 무엇이 진행되고 있는지를 알고, 빤냐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압니다.


93. 온 세상은 공평하지 않습니다. 사람들은 더 나은 (방식)것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모하 때문에 나쁜 짓을 합니다.


94. 다른 사람들이 당신과 같기를 바라는 것은 어리석은 기대입니다.


95. 이해의 과정은 흔히 아주 고통스럽습니다.


96. 주의를 정해진 대상에 유지하려는 것은 잘못된 노력입니다.


97. 지각하는 모든 것은 단지 대상일 뿐입니다. 모든 대상은 자연 현상입니다. 현상이 일어나게 내버려두십시오.


98. 어떤 것을 좋거나 나쁘다고 판단할 때마다, 모하가 당신을 장악하고 있는 것입니다.


99. 불선업의 행위를 얼마나 했건 간에, 지혜는 바로 이 생에서 당신을 해방시킬 수 있습니다.


100. 완전히 아무런 기대도 하지 않고, 걱정도 하지 않고, 아무런 불안도 없는, 평화로운 한 순간을 체험한 적이 있습니까?


101. 마음이 이해함에 기쁨을 느낀다면, 마음은 더 깊이 보려고 할 것입니다.


102. 조사란 전체 그림을 이해하기 위하여 일어나고 있는 것을 관찰하는 것입니다.


103. 수행이란 선한 마음 상태를 키워나가는 것입니다.


104. 자연스런 알아차림이란 자동차를 운전하는 것과 같습니다. 당신은 무엇을 해야 하는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 무엇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지 압니다.


105.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습니까?


106. 왜 우리는 현상들을 좋아할까요? 왜냐하면 우리가 그것들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107. 실재에는 방향이 없습니다. 실재는 어떤 곳에도 가지 않습니다.


108. 현상들은 당신이 그것들이 일어나기를 원하기 때문이 아니라, 조건들이 적절하기 때문에 일어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