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쉼-息]/밑줄 긋기

서도의 관계론

그러한 2019. 2. 13. 15:20


아버님께


제가 서도를 운위하다니 당구의 폐풍월 짝입니다만 엽서 위의 편언이고 보면 조리가 빈다고 반드시 허물이겠습니까.


일것 붓을 가누어 조신해 그은 획이 그만 삐뚤어버린 때 저는 우선 그 부근의 다른 획의 위치나 모양을 바꾸어 그 실패를 구하려 합니다. 

이것은 물론 지우거나 개칠하지 못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실상 획의 성패란 획 그 자체에 있지 않고 획과 획의 '관계' 속에 있다고 이해하기 때문입니다. 


하나의 획이 다른 획을 만나지 않고 어찌 제 혼자서 '자'가 될 수 있겠습니까. 획도 흡사 사람과 같아서 독존 하지 못하는 '반쪽'인 듯합니다. 마찬가지로 한 '자'가 잘못된 때는 그 다음 자 또는 그 다음다음자로써 그 결함을 보상하려고 합니다. 또 한 '행'의 잘못은 다른 행의 배려로써, 한 '연'의 실수는 다른 연의 구성으로써 감싸려 합니다. 그리하여 어쩌면 잘못과 실수의 누적으로 이루어진, 실패와 보상과 결함과 사과와 노력들이 점철된, 그러기에 더 애착이 가는, 한 폭의 글을 얻게 됩니다. 


이렇게 얻은 한폭의 글은, 획, 자, 행, 연 들이 대소, 강약, 태세, 지속, 농담 등의 여러 가지 형태로 서로가 서로를 의지하고 양보하며 실수와 결함을 감싸주며 간신히 이룩한 성취입니다. 그 중 한 자, 한 획이라도 그 생김생김이 그렇지 않았더라면 와르르 얼개가 전부 무너질 뻔한, 심지어 낙관 까지도 전체 속에 융화되어 균형에 한 몫 참여하고 있을 정도의, 그 피가 통할 듯 농밀한 '상호연계'와 '통일' 속에는 이윽고 묵과 여백, 흑과 백이 이루는 대립과 조화, 그 '대립과 조화' 그것의 통일이 창출해 내는 드높은 '질'이 가능할 것입니다.  이에 비하여 규격화된 자, 자, 자의 단순한 양적 집합이 우리에게 주는 느낌은 줄 것도 받을 것도 없는 남남끼리의 그저 냉랭한 군서일 뿐 거기 어디 악수하고 싶은 얼굴 하나 있겠습니까. 


유리창을 깨뜨린 잘못이 유리 한 장으로 보상될 수 있다는 생각은, 사람의 수고가, 인정이 배제된 일정액의 화폐로 대상될 수 있다는 생각만큼이나 쓸쓸한 것이 아니겠습니까. 획과 획 간에, 자와 자 간에 붓을 세우듯이, 저는 묵을 갈 적마다 인과 인 간의 그 뜨거운 '연계'위에 서고자 합니다. 


춥다가 아직 덥기 전의, 4월도 한창 때, 좋은 시절입니다.


1977. 4. 15.



- 신영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