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 생활에서 규율은 무슨 역할을 합니까?
K 불행하게도 규율이 큰 역할을 합니다. 그렇지 않습니까?
당신 삶의 대부분은 규율에 의한 것입니다. 이것은 하고 저것은 하지 말라는 등
언제 일어나고, 무엇을 먹고, 무엇을 먹지 말며, 무엇을 알아야 하고,
무엇을 알아서는 안된다는 등 당신은 가르쳐지고 있습니다.
당신은 책을 읽고, 학교에 가며, 시험에 통과해야 한다는 등의
지시를 받고 있습니다. 당신의 부모, 선생님들, 당신의 사회, 전통,
거룩한 책들은 모두가 당신에게 어떻게 하라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그렇지 않나요? 해라, 하지 말라는 창살이고 당신은 그 감옥 속의 죄수입니다.
그러면, 규율에 묶인 마음에선 어떤 일이 벌어집니까?
확실히, 당신이 무엇을 무서워 하고, 무엇에 반항할 때에만 규율이 있습니다.
그러한 때, 당신은 억제해야 하고 자신을 단속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당신이 자발적으로 이 일을 하지 않으면, 사회가 대신 해 줍니다.
사회란, 당신의 부모, 선생들, 당신의 전통, 그리고 거룩한 책들입니다.
그러나 당신이 의문을 갖고 알아보기 시작할 때, 아무 두려움 없이
배우고 이해할 때, 그 때에도 규율이 필요할까요?
그 때에는 그 이해 자체가 강제나 강요에서 오지 않은,
스스로의 질서를 가져옵니다.
이 일을 잘 생각해 보십시요. 두려움을 통해 당신이 규율에 묶일 때,
사회의 강제에 부서질 때, 부모나 선생의 말에 지배당할 때, 당신에게는
자유의 기쁨도 없고 진취성이 사라져 버릴 것이기 때문입니다.
문화가 오래 되면 될수록, 당신에게 부과되는 하라, 하지 말라의
규율적 전통의 무게가 큽니다. 그리하여 당신은 무게에 짓눌리고,
마차가 당신 위를 지나간 것처럼, 심리적으로 납작해져 있습니다.
인도에서 벌어지는 일이 그러합니다. 전통의 무게가 너무도 큰 나머지
모든 진취성이 파괴되고, 당신은 더 이상 개인이 아닙니다.
당신은 사회라는 기계의 부속일 뿐이며, 당신은 그것에 만족합니다.
이해가 갑니까? 당신은 저항하지 않고, 폭발하거나 깨뜨리고 나오지 않습니다.
당신 부모가 저항을 바라지 않고, 선생들이 깨뜨리고 나오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교육은 이미 기성의 틀에 당신을 짜맞추는데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그런 때 당신은 온전한 인간이 아닙니다.
두려움이 당신의 가슴을 갉아먹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두려움이 있는 한
기쁨과 창조성은 있을 수 없습니다.
'크리슈나무르티(K) > 길 없는 대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현실을 감안할 때, 그 필요가 절실하지 않은가요? (0) | 2008.05.09 |
---|---|
진짜 사람이 없을 때 그림자도 없는 것 아닌가요? (0) | 2008.05.09 |
모든 세상 사람들이 예배할 수 있도록 사원은 개방되어야 합니까? (0) | 2008.05.09 |
우리가 아플 때, 왜 우리 부모들이 걱정하며 우리 신변을 염려합니까? (0) | 2008.05.09 |
죽은 후에도 영혼은 살고 있습니까? (0) | 2008.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