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내가 공부를 안 할 때, 왜 나는 자신을 싫어하나요?
K 질문을 들어보십시요.
내가 마땅히 해야 할 공부를 하지 않을 때 왜 내가 나 자신을 싫어하느냐?
내가 그렇게 돼야 된다고 믿는 상태가 아닐 때, 곧 훌륭하지 않을 때,
왜 내가 나 자신을 미워하는가?
다른 말로 하면, 왜 내가 내 이상대로 살지 못하느냐?
자, 차라리 이상을 안 가지는 편이 훨씬 간단하지 않을까요?
당신이 만약 이상을 안 가진다면, 그때에는 당신 자신을 미워해야 할
이유가 없는 것 아닌가요?
그러므로 왜 당신은, "내가 해야겠다, 나는 너그러워져야겠다,
내가 주의를 기울여야겠다, 나는 공부해야겠다."고 말합니까?
만약 당신이 그 이유를 알아낸다면, 그리고 그 이상들에서 자유로워진다면,
그때에는 아마도 당신이 전혀 다르게 행동할 것입니다.
거기에 대해 지금부터 말하겠습니다.
당신은 왜 이상을 갖습니까? 우선 사람들이 당신에게,
이상들을 갖지 않으면 쓸모없는 소년이라고 말했기 때문입니다.
사회는, 그것이 공산주의의 모양을 갖춘 사회건 자본주의의 틀을 갖춘 사회건,
이렇게 말합니다. "이것이 이상이다."
그리고 당신은 그것을 받아들이고, 그것대로 살려고 애씁니다. 그렇지 않습니까?
자, 그런데, 당신이 어떤 이상에 따라 살려고 애쓰기 전에,
당신은 이상을 갖는 일이 필요한 일인지 아닌지 부터 알아야 하지 않습니까?
확실히, 그래야 이치가 맞습니다.
당신은 라마나 싯타의 이상, 그리고 사회가 당신에게 제공했거나
당신 스스로가 지어낸 수많은 이상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당신은 당신이 왜 그것들을 가지고 있는지 아십니까?
당신이 당신 모습 그대로 있기를 두려워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간단하게 내버려둡시다, 복잡한 이론을 만들지 맙시다.
당신은 있는 그대로의 당신 모습을 두려워합니다.
이 말은 당신이 스스로에게 자신이 없다는 말입니다.
그것이, 사회나 당신 부모, 당신의 종교가 당신에게 어떻게 되라고 얘기한 대로
당신이 되려고 애쓰는 이유입니다.
자, 왜 당신이 있는 그대로의 당신을 두려워하는가?
왜 당신은, 그렇게 되어야 할 당신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의 당신에서 출발하지 않습니까?
지금의 당신을 이해함이 없이, 앞으로 당신이 어떻게 되어야 한다고 믿고
그것을 바꾸려고 애쓰기만 하는 일은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모든 이상들을 떨쳐 버리십시요.
나이든 사람들은 이런 일을 싫어할 것이라는 것을 나는 압니다. 그러나 상관없습니다.
그러므로 모든 이상들을 떨쳐 버리십시요. 강물에 띄워보내십시요.
쓰레기통에 던져 버리십시요. 그리고 있는 그대로의 당신에서 시작하십시요
- 이것은 무슨 뜻인가?
당신은 게으릅니다, 공부하기 싫어합니다, 게임을 즐기고 싶습니다.
재미있는 시간을 보내고 싶습니다, 모든 젊은이들처럼 말입니다.
거기에서부터 시작하십시요. 즐거운 시간을 가진다고 당신이 말할 때
당신이 무엇을 의도하는 것인지를 살피는 데 마음을 사용하십시요.
- 실제로 그 내용이 무엇인지 알아내십시요.
당신의 부모나 당신의 이상들이 말하는 대로 따라가지 마십시요.
왜 당신이 공부하기를 원치 않는지 알아내는데 당신의 마음을 사용하십시요.
- 사회나 어떤 이상이 하라고 말하는 일이 아니라, 당신이 하고 싶은 일 말입니다.
만약 당신이 이 물음에 당신의 전 존재를 투입한다면, 당신은 혁명가입니다.
그때에 당신은 창조하는 일들과 있는 그대로의 당신 모습에 자신을 가지게 되고
그 자신 안에 항상 새로워지는 생명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렇게 하지 않을 때에, 당신은 남과 같이 되려고 애쓰는 노력 속에
당신의 기운만을 낭비하게 됩니다.
잘 보십시요. 당신이 있는 그대로의 당신이 되는 걸 아주 두려워 한다는 사실은
참 이상한 일입니다. 있는 그대로의 당신 모습 속에 아름다움이 있는 데도 말입니다.
만약 당신 자신이 게으르다는 것, 어리석다는 것을 알고,
그것들을 다른 것으로 바꾸려는 노력 없이 게으름을 이해하고,
어리석음과 일대일로 대면한다면, 그때 그 상태 안에 당신은 엄청난 자유,
커다란 아름다움, 커다란 지성이 있음을 알 것입니다.
'크리슈나무르티(K) > 길 없는 대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떻게 하여 우리 인간이 그 많은 지식을 갖게 되었습니까? (0) | 2008.05.09 |
---|---|
새로운 사회를 만드는 일은 또 다른 형태의 욕심이 아닌가요? (0) | 2008.05.09 |
사회를 개선하겠다는 욕구도 욕심이 아닌가요? (0) | 2008.05.09 |
우리는 왜 게으름 피우기를 좋아하나요? (0) | 2008.05.09 |
어떻게 마음이 동시에 여러가지를 들을 수 있습니까? (0) | 2008.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