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완스님]우리는 왜 질문을 할까? Q 수행자가 죽으면 무엇이 남을까? A 오랜 세월 믿음과 계행으로 욕망에서 벗어나는 통찰 지혜를 닦은 오온이 죽을 때는, 몸은 비록 변하여 사라져도 그동안 수행한 마음의 힘은 남는다. 사랑하는 마음, 살리는 마음, 용서하는 마음, 치우침 없는 마음 등 긍정적인 마음의 씨앗도 남아 있고. Q 몸으로 삿.. [앎-識]/위빠사나(명상) 2008.07.18
[수완스님]마음을 챙길 때와 챙기지 않을 때는 어떻게 다른가? Q 마음을 챙길 때와 챙기지 않을 때는 어떻게 다른가? A 마음을 챙기면 접촉에서 알아차려서 반응하지 않으나, 챙기지 않으면 반응하여 수(受)·상(想)·행(行)·식(識)이 연이어 일어난다. 마음을 챙기기 전에는 느낌을 의식적으로 알아차리지 못해서 느낌에 즉각 반응하나, 마음을 챙긴 후에는 어떤 .. [앎-識]/위빠사나(명상) 2008.07.18
[수완스님]사물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보고 싶다. 어떻게 하면 될까? Q 일어났다가 사라진 번뇌를 원인으로 새로운 번뇌가 형성되는데, 일단 사라져서 숨어버린 번뇌(隨眠識 anusaya)는 어디에 저장되나? A ① 남방 아비담마에서는 심장에 저장되었다가 나타난다고 하지만, 실은 생겨나지도 사라지지도 않는다. ② 세포 하나하나마다 모든 정보를 공유해서 오온의 상태를 .. [앎-識]/위빠사나(명상) 2008.07.18
[수완스님]마음이 너무 가라앉은 경우에는? Q 수행에서 ‘아는 마음을 다시 보라’거나 ‘앞의 마음과 뒤의 마음을 보라’란 무슨 뜻인가? A ① 앞의 아는 마음은 알음알이(識)이고 뒤의 보는 행위는 관(觀 sati or paññā)으로 비추어봄을 뜻한다. 보고 또 보아서 앞의 마음에 집착이 있음을 알면, 뒤의 마음에선 집착이 떨어진다. .. [앎-識]/위빠사나(명상) 2008.07.18
[수완스님]오온의 생멸 현상은 어떻게 바뀔까? Q 오온(五蘊 다섯 가지 몸과 마음의 집합)이 함께 일어나는 모습의 예를 들면? A 감각의 장(眼·耳·鼻·舌·身·意)과 그 대상(色·聲·香·味·觸·法)이 만나는 순간, 그걸 아는 마음인 식(識 viññāna)이 일어난다. 눈과 빛깔이 만나서 보는 마음(眼識)이 일어날 때 눈과 빛깔은 색(.. [앎-識]/위빠사나(명상) 2008.07.18
[수완스님]오온(五蘊 pañcakkhandha)이 왜 고(苦)인가? Q 그릇된 견해를 지니고 있어도 삼매에 들 수 있는가? A 5계를 지켜서 10악을 버리고 자애 명상을 하면, 그릇된 견해를 지니고 있어도 삼매에 든다. 당신이 5계를 지켜서 10악을 버리고 4무량심(四無量心)이 충만한 상태에서 인과를 확신할 때 마음 챙겨 삼매에 들면, 모든 의혹이 사라진다. 사실 사라질 .. [앎-識]/위빠사나(명상) 2008.07.18
[수완스님]욕망을 바탕으로 욕망을 버릴 수 있을까? Q 집착의 대상과 관련된 기억과 의도가 일어날 때는 얼른 알아차려서 없애는데, 올바른 태도인가? A 아니다. 이미 일어난 번뇌는 얼른 알아차리되, 빈틈없이 꿰뚫어봐서 그 뿌리를 캐내야 한다. Q 욕망을 바탕으로 욕망을 버릴 수 있을까? A 진리를 알려는 마음이 있으면 알지 못한다. 그렇다고 알려는 .. [앎-識]/위빠사나(명상) 2008.07.18
[수완스님]망상이 일어나면 어떻게 관찰할까? Q 빤냐띠(paññatti)와 빠라마타(paramatha)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A 빠라마타는 오온을 있는 그대로 비추어본 실상이고, 빤냐띠는 오온을 자의식인 알음알이로 반야 없이 본 허상이다. 우리가 음식을 먹기 전에 상상으로 맛을 아는 게 빤냐띠, 직접 맛을 보는 게 빠라마타이다. 경행할 때 발의 .. [앎-識]/위빠사나(명상) 2008.07.18
[수완스님]좌선 중 ... 어떻게 할까? Q 좌선 중 고통스러우면 어떻게 할까? A ① 고통은 원래 없다. ‘내 몸’이라는 집착으로 인해 마음이 만든 것이다. 그러므로 고통을 ‘나’와 분리해서, 그건 인과의 작용이라는 바른 앎으로 집착 없이 지켜본다. ② 고통 속에서 자신이 누구인지 알게 된다. 일단 마음을 가라앉힌 후에 몸의 고통과 마.. [앎-識]/위빠사나(명상) 2008.07.18
[수완스님]무엇이 느낌(vedanā)을 일으키나? Q 분노에서 벗어나지 못하면 어떻게 될까? A 있는 그대로 못 봐서, 내가 화를 내고 있다고 착각하게 된다. Q 탐심이 일어날 때는? A 내면에서 그걸 부추기는 마음과 울렁거리는 느낌의 변화 등을 면밀히 살핀다. 삶의 본능인 생존욕이 무의식에서 앞장서면 본성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당신이 탐심 속.. [앎-識]/위빠사나(명상) 2008.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