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계는 분자, 세포, 분화된 기관들로 구성된 신체의 선택적 체계이다.
하나의 체계로서 그것은 분자 수준에서 자기와 비자기의 차이를 아는 능력을 갖고 잇다.
예를 들어 그것은 유기체의 세포 시스템 집단들(자기)을 압도해버릴 수 있는 바이러스와
박테리아 침입자들(비자기)의 화학적 특성을 식별하고 그에 반응하는 역할을 한다.
이 반응에는 놀라울 정도로 구체적인 분자 인식이 수반된다.
수천 개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거대한 단백질 분자 두 개가 침입하면
이에 자극을 받은 면역계는 단 하나의 탄소 고리 각도가 조금만 달라도 즉시 그 차이를 알아낸다.
그리고 분자들은 다른 모든 분자들과 구별할 수 있고, 일단 그 능력을 개발한 후에는 계속 보유할 수 있다.
그것은 '기억력'을 가지고 있다.
----
면역계의 선택적 시스템에는 몇 가지 흥미로운 특성이 있다.
첫째, 그것은 특정한 형태를 성공적으로 인식하는 방법을 한 가지 이상 갖고 있다.
둘째, 두 개체의 면역계는 절대로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지 않는다. 즉 어떤 두 개체도 동일한 항체를 갖지 않는다.
셋째, 시스템에는 세포 차원의 기억이 있다. 림프구가 항원을 만나면 어떤 림프 세포는 몇 번만 분열하고
나머지는 항원에 대항하는 특별한 항체를 계속 생산하다 죽음을 맞이한다.
일부 세포는 항체를 만들다 죽을 때까지 분열하지 않기 때문에, 원래 존재했던 것 보다 더 큰 세포집단에 합류할 수 있다.
이 집단은 후에 같은 항원에 대해 더 강력하게 반응한다.
따라서 앞에서 언급했듯이 그 체계는 세포 차원에서 기억력을 보여준다.
- <이머전스> 주해(에들먼) 중에서
'[쉼-息] > 밑줄 긋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울로 코엘료(한 줄) (0) | 2012.02.15 |
---|---|
<이머전스>, 주해 중에서 (0) | 2012.01.21 |
가난하지만 행복하게 (0) | 2012.01.17 |
지속 가능한 문제 해결 조건 (0) | 2012.01.17 |
조직이 왜 빨리 혹은 성공적으로 적응하지 못하는가? (0) | 2012.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