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은 미래의 목표가 아닌, 현재의 선택 "맨 처음 우리가 만났을 때, 스님께선 말씀하셨습니다. 행복을 목표라고 여기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라고. 그것은 무슨 뜻인가요?" 노승이 말했다. "내가 말하고 싶었던 건, 당신도 이미 알고 있듯이, 삶에서 목표는 많은 일을 이루게 하는 원동력이지만 행복은 결코 그런 것이 아니라는 겁.. [쉼-息]/밑줄 긋기 2013.03.02
<오래된 미래> 중에서 라다크를 통해서 나는 파괴적인 변화에 직면하여 내가 취해온 수동적인 태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내가 자연과 문화를 혼동한 데 기인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나는 내가 본 많은 부정적인 경향이 우리의 통제력 너머에 있는 어떤 자연적인 진화의 힘이 아니라 나 자신이 속한 산업.. [쉼-息]/밑줄 긋기 2013.02.23
관계가 모든 것은 아니다 오늘날 우리는 인간관계에 지나치게 큰 의미를 두고 있다. 사실 인간관계와 행복의 연결고리는 매우 허약하다. 제대로 된 인간관계를 맺는다면 삶이 더할나위 없이 행복할 것이고 행복하지못하다면 그 인간관계는 뭔가 잘못된 것이라는 우리의 생각은 지나친 것이 아닐까. 물론 사랑과 .. [쉼-息]/밑줄 긋기 2013.02.07
비대칭의 굴절적응 새의 깃털은 원래 체온을 조절하기 위해 진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날개는 백악기에 살던 날지 못하는 공룡들이 추운 날씨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우리가 지금 시조새라고 부르는 생물을 포함한 후손들 중 일부가 공중을 나는 실험을 하였고, 깃털이 날개 표.. [쉼-息]/밑줄 긋기 2013.01.11
'평등 속의 어울림'이 진보의 법칙 사람이 따로따로 떨어져 살면 개인의 모든 힘을 생존을 유지하기 위해 다 써야 한다. 정신력은 사람들이 사회 속에서 서로 어울릴 때만 자유로워져 높은 차원의 목적에서 사용될 수 있다. 어울림으로 분업이 가능해지고 많은 사람이 협력해서 생기는 경제성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어울림.. [쉼-息]/밑줄 긋기 2013.01.05
진보 속의 빈곤의 원인 진보 속의 빈곤의 원인, 곧 생산력이 향상하는데도 임금이 겨우 생존할 수 있을 정도의 최저액에 머무는 이유는 생산력의 향상과 더불어 지대가 더 큰 비율로 상승함으로써 임금이 낮게 유지되기 때문이다. 부의 분배가 불평등한 가장 큰 이유는 지대를 전유할 수 있는 토지소유의 불평.. [쉼-息]/밑줄 긋기 2013.01.05
지대상승과 생산억제의 악순환 인구가 증가하고 연이어 기술이 발달하는 진보하는 사회에서는 토지가치가 계속해서 상승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미래에도 토지가치가 계속 상승할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에 자연히 토지 투기가 발생한다. 이때 토지가치는 현재의 생산 조건 아래에서 노동과 자본에 대한 보통의 대가.. [쉼-息]/밑줄 긋기 2013.01.02
토지사유제는 빈곤의 원인 - 헨리 조지 인류 문명 발달의 불평등을 설명해주는 원리는 자본과 노동의 관계에 관한 원리가 아니며, 인구가 생존물자에 압력을 가한다는 원리도 아니다. 부의 분배가 불평등한 큰 원인은 토지소유의 불평등 때문이다. 토지소유는 인간의 사회적.정치적 상황, 그리고 그 결과로 나타나는 지적.도덕.. [쉼-息]/밑줄 긋기 2013.01.02
임금은 자가노동의 가치에 따라 정해진다 인간 행동의 기본 원리는 최소의 노력으로 욕구를 충족하려고 한다는 것이다. 이 원리가 정치경제학에서 갖는 뜻은 물리학에서 중력의 법칙이 갖는 뜻과 같다. 이 원리와 자유의 조건 아래에서 타인을 고용하려면 임금을 얼마나 지불해야 할까? 분명히 그 임금은 노동자가 자가노동을 할.. [쉼-息]/밑줄 긋기 2013.01.02
넓은 의미의, 일하는 사람 학자, 철학자, 교사, 예술가, 시인, 성직자는 부를 생산하지는 않지만 부를 생산하는 목적이 되는 효용과 만족을 생산한다. 그뿐 아니라 지식을 획득하고 전파하며 정신력을 자극하고 도덕심을 높임으로써 부의 생산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인간은 빵만으로 살 수 없기 때문이다. .. [쉼-息]/밑줄 긋기 2013.01.02